헷갈리다 VS 헤깔리다 두 표현 중 어떤 게 맞을까요?
정담은 헷갈리다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 두 단어의 정확한 맞춤법과 함께,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들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!
1. ‘헷갈리다’ VS '헤깔리다'
✅ 헷갈리다 (O)
❌ 헤깔리다 (X)
‘헷갈리다’는 ‘혼란스럽다’, ‘뒤섞여 분간하기 어렵다’는 뜻의 표준어입니다.
반면 ‘헤깔리다’는 잘못된 표현으로, 표준어가 아닙니다.
‘헷갈리다’는 ‘헛(허투루)’와 ‘갈리다’가 결합한 말에서 유래했기 때문에
받침 ㅅ이 들어간 '헷-'이 맞는 표현입니다.
●시험 문제를 보고 너무 헷갈렸다.
● 누구 말이 맞는지 헷갈려서 정답을 못 고르겠어.
● 번호를 헷갈려서 잘못 적었어요.
2.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더 알아보기
‘헷갈리다’처럼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은 생각보다 많습니다.
다음 단어들도 함께 알아두면 글을 쓸 때 훨씬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쓸 수 있어요.
✔️1. 되/돼
이건 모든 한국인이 최소 한 번쯤은 틀려본 맞춤법이죠.
✅ 돼는 ‘되어’의 줄임말 (되+어 → 돼)
✅ 되다는 동사 원형
● 그렇게 하면 돼. (→ '되어'의 준말)
● 이 일이 잘 되길 바래. (→ 동사 '되다')
● 말이 안 돼! (→ '되어'의 줄임말)
💡 팁: 헷갈리면 '되어'로 바꿔서 말이 되면 ‘돼’, 아니면 ‘되’!
✔️ 2. 왠지 vs 웬지
✅ 왠지 (O) : 왜인지 모르게
❌ 웬지 (X)
‘왠지’는 ‘왜인지’의 줄임말입니다.
● 오늘은 왠지 기분이 좋아.
● 그 사람, 왠지 낯이 익어.
💡 ‘웬지’는 아예 없는 말입니다!
✔️ 3. 띄어쓰기: 안되 vs 안 돼
이것도 헷갈리는 포인트 중 하나!
✅ 안 돼 (O) : ~하면 안 된다
✅ 안되다 (O) :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
❌ 안되 (X) : 동사형태이므로 단독 사용은 불가
● 그렇게 하면 안 돼! (금지 표현)
● 일이 자꾸 안돼서 속상해. (일이 풀리지 않는 상황)
✔️ 4. 낫다 vs 낳다 vs 낚다
음이 비슷해도 뜻은 전혀 다르므로 반드시 구분해야 해요.
단어 의미 예시
● 낫다 병이 회복되다 / 더 우월하다 감기가 다 나았어 / 이게 더 나아
● 낳다 아이를 출산하다 그녀는 아이를 낳았다
● 낚다 낚시하다 / 속이다 고기를 낚았다 / 클릭을 낚는 제목
마무리하며
오늘 배운 헷갈리다(O), 헤깔리다(X) 차이와 함께 자주 틀리는 표현들도
하나씩 정리해두시면 글쓰기나 메신저 대화에서도 당황하지 않게 될 거예요!